Business Services 분야 기업군은 Patentpia 기업군별 비교 분석 서비스의 분류 기준에 따라 선정하였으며, 기업군 전체 목록 및 분류 기준을 확인하려면 [링크]를 참고.
특허 관련 데이터는 계속적으로 최신화되고 있으므로 본 분석 항목의 발행시점과 현재 열람하는 시점이 차이날 경우 수치 등의 항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최신화된 정보는 항목별로 첨부되어 있는 하이퍼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
Business Services 분야의 핵심 기업은 해당 분야의 US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기업/기관을 뜻함.
Business Services 분야 전체 보유 US 특허수가 매우 낮은 기업의 경우(10개 이하) 등록률 등의 비율적인 지표에서 특허 한두건의 해당 여부로 수치가 크게 차이날 수 있음. 이러한 지표상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특허의 양적인 측면 역시 함께 고려되어야 함.
Business Services 분야 보유 US 특허수 1위 기업은 GOOGLE로 나타남. 그러나 GOOGLE의 경우 Business Services 분야 뿐만이 아닌 매우 다양한 기술 분야를 다루는 거대 기업이므로, 차순위 기업에 대한 정보 역시 확인할 필요가 있음. Adobe와 PayPal이 각가 6765건, 4336건의 해당 분야 특허를 보유하고 있고 MICROSOFT, Sg Gaming 등이 그 뒤를 잇고 있음.
표 2. Business Services 분야 나스닥 상장기업의 US 특허 거래 동향 지표
Select an Image
그림 1. Business Services 분야 나스닥 상장기업의 US 특허 매입 동향
Select an Image
특허 관점의 기술적인 강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을 통해 특허를 출원/등록하는 방법도 있지만, 특허의 매입을 통해 특허 소유권을 확보하는 방법도 있음. Business Services 분야에 대한 특허 거래 동향을 확인함으로서 각 기업이 연구개발 외적으로 얼마나 많은 자금을 투입하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음.
초거대 기업인 GOOGLE을 제외한다면, PayPal과 Sg Gaming이 각각 2642건, 2377건으로 높은 매입 건수를 나타내고 있고, 특히 Sg Gaming은 매입의 대부분이 M&A를 통해 발생한 것으로 나와(2134건) 자체적인 연구개발보다 특허의 소유권을 인수하여 기술적 경쟁력을 갖추는 방향이 주가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허 등록률은 공개된 특허수 기준 출원된 특허가 심사 후 등록되는 비율을 뜻함. 특허의 심사 과정에서 등록이 거절되지 않는 비율이 높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보유 기술 품질이 높다는 것을 의미함. 이러한 수치는 기업의 특허 포트폴리오가 얼마나 충실한지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음.
Top 10 핵심 기업 기준으로 대부분의 기업들이 90%가 넘는 높은 등록률을 보이고 있으나, Ebay의 경우 75.4%의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임.
그림 3. Business Services 분야 나스닥 상장기업의 공개 US 특허수 vs 심사관 피인용수
Select an Image
후행 특허의 심사시 심사관이 거절의 근거로 인용하는 특허는 이를 보유한 선행 기업의 기술적 강점을 나타냄. Business Services 분야 나스닥 상장기업의 심사관 피인용수와 관련된 지표는 기업이 보유한 특허 기술의 유니크함 및 선도성을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음.
심사관 피인용수 상위 기업의 경우 핵심 기업 Top 10 명단과 거의 유사하나 Digimarc의 경우 보유 특허수(1535건) 대비 매우 높은 심사관 피인용수(9893건)을 나타내 특허의 양적 대비 질적인 강점이 매우 높음을 확인 가능함.
표 5. Business Services 분야 나스닥 상장기업의 US 특허 관련 분쟁 지표
Select an Image
그림 4. Business Services 분야 나스닥 상장기업의 특허 소송 연도별 동향
Select an Image
특허 관련 분쟁 여부는 기업간의 경쟁 구도를 확인하려할 때 좋은 참고자료가 됨. 특히 어떤 기업간에 특허 소송이 발생하였는지, 어떤 기업의 특허가 소송의 대상으로 많이 사용되었는지, 특정 기업에 대한 특허를 대상으로 한 특허 심판 청구가 얼마나 발생하였는지 등을 확인하고 이러한 분쟁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기업간 관계를 확인할 필요가 잇음.
총 0개의 댓글